| 			
				
					
					  꽃밭에서 이철우 동민조시집 (전자책) / 한국문학방송 刊
 민조시(民調詩)는 3 4, 5, 6 조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짧은 정형시 틀이 만들어내는 우리 겨레의 가락 장단으로 전승되어야할 귀중하고도 위대한 민족 유산으로, 정형 민조시는 반드시 3음절로 시작하여 4조 5조를 거쳐 6조에서 매듭을 짓는 기승전결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 특히 짧고 명료한 정보화 시대인 현대에 18자로 표현되는 민조시야말로 앞으로 세계로 그 지평을 넓혀나갈 수 있는 우리 고유 문학 장르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.
 이에 『개똥벌레』, 『오줌싸개』에 이어 제3 동민조시 『꽃밭에서』를 상재하고자 합니다.
 시는 작자에 의해 창조되고 독자에 의해 재창조된다고 합니다. 이 시집에 수록한 민조시 형식의 시들을 독자들이 재창조해 보았으면 합니다. 시를 읽고 느낀 감정들을 시 형식의 글로 표현해 보거나 그림 등으로 나타내 보시기 바랍니다.
 우리 함께 동심의 세계를 민조시 가락에 맞추어 노래해 봅시다.
 ― <머리말>
 
 
 - 차    례 -
 
 들어가는말
 서시
 
 제1부  봄까치꽃
 매화
 붕어빵
 꽃양배추
 징검다리
 봄까치꽃
 
  이월 겨울나무
 입춘서
 서리
 함박눈
 섶다리
 적멸보궁
 얼음공주
 도담삼봉
 무섬다리
 무섬다리 2
 무섬다리 3
 측간
 석송령
 비로봉
 
 제2부  달맞이꽃
 복수초
 피에타
 기다림
 살구꽃
 달맞이꽃
 둘레길
 꽃망울
 군자란
 국사암 삼존불
 정월 보름
 별꽃
 끝추위
 농부
 새싹
 진천 농다리
 징검다리 2
 산수유
 추사고택
 소나무
 뒤란
 
 제3부  바람꽃
 사랑방
 옛날이야기
 버들강아지
 들꽃
 운지버섯
 난꽃
 프리지아
 세월
 괭이눈
 빈 의자
 꽃다지
 바람꽃
 봄소식
 삶
 봄 시금치
 광대나물
 둘레길 2
 깽깽이풀
 봄 쑥
 수선화
 
 제4부  영춘화
 석남사 돌계단
 바위
 히메간사시
 마늘싹
 목련화
 봄의 길목
 자목련
 계곡
 영춘화
 꽃봉오리
 매화 2
 베고니아
 반영
 진달래꽃
 팬지
 히아신스
 매화 3
 명자나무꽃
 조팝나무꽃
 프리지아
 
 제5부  살구꽃
 봄까치꽃 2
 앵초
 양지꽃
 꽃마리
 살구꽃 2
 천리향
 오솔길
 개나리
 여유
 냉이꽃
 계곡
 괭이밥
 직소폭포
 선녀탕
 동학혁명 기념탑
 은선리 삼층석탑
 왕궁리 오층석탑
 미륵사지 석탑
 고도리 석조여래입상
 민들레
 
  
 [2022.05.10 발행. 121쪽. 정가 5천원]
 
 ※ 이 책은 콘텐츠몰.com 에서 바로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. 콘텐츠몰 바로가기 (클릭)
 
 ◑ 전자책 미리보기(클릭)
 |